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바로가기로 위장하는 랜섬웨어
    카테고리 없음 2016. 8. 8. 13:58
    반응형



    랜섬웨어는 컴퓨터를 감염시키는 즉시 파일을 암호화시키고 천연덕스럽게 복호화툴 구매를 제안한다. 만약 최근에 백업을 해 뒀다면 돈을 낼 필요가 없겠지만 백업이 없는 상태고 데이터를 복구해야 한다면 돈을 낼 수밖에 없다. 물론 맬웨어 제작자의 실수로 인해 복호화 전문가들이 무료 복호화방법을 찾아내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이는 지극히 드문 경우다.



    랜섬웨어는 주로 이메일 첨부물의 형태로 배포되는데 최근 사례를 표시한 위 그림을 보면 랜섬웨어 제작자들은 DOCX 워드파일이나 JS 자바스크립트파일의 형태로 만든 악성파일을 zip 압축파일에 넣는 방법을 즐겨 사용함을 알 수 있다. 사실 이렇게 압축할 필요 없이 직접 워드문서 또는 자바스크립트를 첨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악성코드 실행에 필요한 클릭 과정이 줄어들기도 한다. 하지만 악성코드를 압축파일에 넣는 방법은 세 가지 목적이 있다. 우선 zip과 같은 압축파일은 자바스크립트 파일과는 달리 이메일 첨부물로 흔히 볼 수 있어서 눈에 띄는 인상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파일의 경우 악성코드 실행에 필요한 클릭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업이 zip 첨부물에 대해서는 개별 파일에 비해서는 다소 관대하게 대하는 경향이 있다. 아울러 압축파일을 여는 과정은 사용자가 악성코드에 실제 접근할 때 시각적으로 이메일프로그램가 분리되는 효과도 있다.


    압축파일을 열면 윈도우 탐색창이 뜨면서 비정상적인 이메일 첨부물이 아닌 믿을 수 있는 일반적인 파일이 들어 있다는 인상을 심어주게 된다. 랜섬웨어는 exe 파일, 엑셀 스프레드시트, PDF, batch 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배포될  수 있지만 최근에는 주로 워드 문서파일과 자바스크립트파일의 형태로 퍼지고 있다. 대부분의 워드문서는 단순 텍스트나 이미지만 있으므로 안전하지만 매크로나 내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담고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랜섬웨어와 같은 맬웨어를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자바스크립트파일은 아이콘 모양이 종이처럼 생겨서 무해한 텍스트파일로 보이지만 사실은 보통의 exe 파일이 수행 가능한 작업을 모두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최근 이들 두 유형 외에 LNK 파일이 새로운 배포유형으로 떠오르고 있다. LNK는 Shell Link Binary 파일인데 일반적인 사용자에게는 바로가기(shortcut)로 잘 알려져 있으며 다른 파일로 위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맬웨어제작자들이 종종 사용해 왔다.




    위 그림을 보면 왼쪽은 MyDoc.pdf 파일이고 오른쪽은 모양은 같지만 오른쪽 하단 화살표를 보면 링크나 바로가기임을 알 수 있다. 물론 해당 파일을 명령 프롬프트를 통해 조회하거나 마우스 우클릭으로 속성을 조회하면 상세정보를 볼 수 있다. 위 그림을 보면 탐색창 설정을 통해 파일 확장자를 보이도록 했음을 알 수 있지만 LNK 파일의 경우 바로가기 대상이 되는 파일의 이름만 보이며 자체적인 파일이름 및 확장자는 표시하지 않는다.



    LNK 파일은 또한 위 그림과 같이 파일이름을 변경하고 아이콘까지 다르게 지정할 수 있으며 명령을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 LNK 파일은 INVOICE.pdf.lnk로 cmd.exe를 통해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여 s.js라는 자바스크립트파일을 생성 및 실행하도록 설정된 상태다. 이 파일은 PDF와 아무 관련이 없는데도 INVOICE.pdf라는 PDF파일로 표시되며 클릭하면 명령 프롬프트를 통해 생성된 s.js 파일을 실행하여 Wscript.Echo() 함수를 통해 메시지를 띄우게 된다.



    이렇게 보면 오늘날 워드문서파일 및 자바스크립트파일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상태에서 사이버범죄자 측이 LNK 파일을 악용하리라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위 내용처럼 LNK 파일은 파일 확장자를 표시하는 설정을 따르지 않으며  실제 행동과 일치하지 않는 아이콘을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아주 매력적인 기만수단이 될 수 있다.


    위에서 확인한 각 이메일은 위 INVOICE.pdf의 경우과 유사한 수법을 사용하는 LNK 파일을 첨부물로 가지고 있다.


    LNK 감염은 랜섬웨어 외에도 다양한 악성코드를 배포할 수 있으며 피해자별로 운영체제 버전, 시간대, 지리적 위치 등에 따라 제각각 다른 악성코드를 퍼뜨릴 수 있다.




    랜섬웨어 등 악성코드 방지요령


    1.윈도우에서 파일 확장자가 보이도록 설정한다. 물론 이 방법은 LNK 파일에 대해서는

    소용이 없지만 적어도 이를 제외한 모든 파일의 확장자를 보여준다는 면에서 보안향상에 도움이 된다.

    2. 요청하지 않은 첨부물을 주의한다.

    3. 실시간 안티바이러스 및 웹필터링 솔루션을 사용하고 업데이트를 최신으로 유지한다.

    4. 이메일에 첨부된 LNK 파일은 열지 않는다.

    5. 이메일첨부물로 허용되는 파일 목록을 확인한다. 시스템관리자 대부분은 exe 파일이나 미디어파일 등 잘 알려진 파일유형 첨부물을 이메일 유입단계에서 차단한다. LNK 파일의 경우처럼 사이버범죄자 측에서 행동양상을 바꿀 경우 해당 차단목록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목록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Paul Ducklin, Beware of ransomware hiding in shortcuts, 8. 3. 2016.

    https://nakedsecurity.sophos.com/2016/08/03/beware-of-ransomware-hiding-in-shortcuts/


    번역⋅요약: madfox




    참고링크 


    <유료안티바이러스 제품소개>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